자료구조/자료구조 공부
[자료구조] 큐(queue)
개발하는 크롱
2020. 11. 21. 22:29
반응형
큐(Queue)란?
삽입과 제거가 한쪽 끝에서만 이루어지는 특수한 선형 리스트.
선입 선출(Fast-In-First-Out) 구조이다. 즉, 가장 먼저(옛날에)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간다.
큐는 줄이라는 뜻이다. 줄을 섰다고 생각해보자. 맨 처음와서 기다린 사람이 제일 먼저 원하는 것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큐도 맨 처음 들어온 원소가 가장 먼저 나간다.
큐의 주요 연산
- enqueue() / push(): 큐에 원소 삽입
- dequeue() / pop(): 큐에서 원소 제거 (후 그 값을 반환)
- front()/peek(): 제일 처음에 있는 원소 반환
- isEmpty(): 큐가 비었는지 확인
- isFull(): 큐가 가득 찼는지 확인
- size(): 큐의 원소 개수 반환
C++에서 큐 사용법
#include <queue>
using namespace std;
queue<int> q;
queue 라이브러리를 include 한 다음 사용한다. 큐 생성법은 위와 같다. (queue< [원소 자료형]> [변수명];
)
c++ queue 라이브러리의 주요 함수
- push()
: 큐에 원소 삽입
- pop()
: 큐에서 원소 제거(가장 앞의 원소)
- front()
: 제일 처음에 있는 원소 반환
- back()
: 제일 뒤에 있는(제일 최근에 들어간) 원소 반환
- empty()
: 큐가 비었는지 확인
- size()
: 큐의 원소 개수 반환
반응형